Home Blog Page 26

미국 연구진 “지금까지 나온 백신으론 오미크론 막기 어려워”

0

2차 접종해도 항체 방어에 ‘큰 구멍’, 3차 부스터 샷도 역부족

미국 컬럼비아의대 과학자들, 저널 ‘네이처’에 논문

스파이크 단백질로 뒤덮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미지
[미국 국립 보건원 산하 국립 치과ㆍ두개안면 연구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오미크론 변이는 지금까지 나타난 어떤 코로나 변이보다 전염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미크론 변이의 특징은 세포 감염에 필요한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부쩍 늘었다는 것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이렇게 증가하면 기존 백신이나 치료용 항체의 공격을 회피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이나 치료용 항체의 표적이 다 스파이크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이는 바람에 흔들리는 표적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과 비슷하다.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우려가 냉엄한 현실이라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또 나왔다.

오미크론 변이가 지금까지 개발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나 자연 감염으로 생기는 면역 방어를 광범위하게 회피한다는 게 요지다.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의 데이비드 호 의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3일(현지 시간)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연구팀은 먼저 백신 접종으로 생기는 항체가 오미크론 변이를 어느 정도 중화하는지 테스트했다.

시험 대상은 가장 많이 쓰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 등의 백신 4종으로 제한했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결과는 더 나빴다.

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도 오미크론을 중화하는 항체 효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변이 출현 이전의 야생형 바이러스(ancestral virus)를 중화하는 효능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확연했다.

코로나19 회복 환자에게서 분리한 항체는 오미크론 중화 능력이 백신 항체보다 더 약했다.

화이자나 모더나의 mRNA 백신으로 ‘부스터 샷’을 맞아도 항체의 오미크론 중화 작용은 충분하지 못할 거로 예측됐다.

이런 결과는 앞서 영국과 남아공에서 진행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효능 테스트 결과와 대체로 부합하는 것이다.

이들 나라에서도 2차까지 백신을 맞은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항체 효능을 시험했다.

컬럼비아 의대의 아론 다이아몬드 에이즈(AIDS) 연구 센터 소장인 호 교수는 “감염됐다가 회복한 사람이나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도 여전히 오미크론 감염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걸 시사한다”라면서 “3차 부스터 샷을 맞으면 얼마간 면역이 강해지겠지만 오미크론을 방어하기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사용 중인 코로나19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치료제도 오미크론을 막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 초기에 이런 항체 치료제를 투여하면 위중증 진행을 막는 데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끝없이 진동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이미지
[MIT Markus Buehler & Yiwen Hu.]

연구팀은 오미크론이 지금까지 본 코로나 변이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바이러스라는 결론을 내렸다.

호 교수팀은 오미크론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항체를 피하는 데 도움을 주는 4개의 돌연변이를 추가로 찾아냈다.

또 오미크론 변이도 숙주세포의 ACE2 수용체와 스파이크 단백질의 융합을 통해 감염 경로를 연다는 걸 확인했다.

어쨌든 지금까지 나온 백신이나 항체 치료제로는 오미크론을 막기에 부족하다는 게 연구팀의 견해다.

호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떻게 진화할지를 예측해 이에 맞는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국 이번엔 코로나 ‘먹는 치료제’ 사전구매 쟁탈전

0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2일(현지시간) 자국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구용 치료 알약 ‘팍스로비드’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 약은 FDA의 사용 승인을 받은 첫 가정용 코로나19 치료제다. 사진은 이탈리아 아스콜리에서 생산되는 팍스로비드의 모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인 오미크론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전 세계 주요국이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쟁탈전을 펼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대표적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는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팍스로비드’와 머크가 개발한 ‘몰누피라비르’다. 두 치료제는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복제되는 것을 방해해 감염자가 중증에 빠지는 상황을 막아준다.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나면 5일간 하루에 두 번 팍스로비드는 3알씩(총 30알·1코스), 몰누피라비르는 4알씩(총 40알·1코스) 먹어야 한다.

이날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를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가했다. FDA는 몰누피라비르도 조만간 긴급 사용 승인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FDA 자문기구인 항균제자문위원회(ADAC)가 지난달 30일 몰누피라비르 사용 승인을 권고한 바 있다. 팍스로비드는 이번에 사용 승인이 났고, 몰누피라비르는 아직 승인 전이지만 미국 정부는 이미 두 회사와 치료제 공급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미국은 화이자와 팍스로비드 1천만 코스를 1코스당 530달러(약 63만원)에 구매하기로 계약했고, 머크와도 몰누피라비르를 1코스당 700달러(약 83만원)씩 310만 코스 들여오기로 했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연합뉴스TV 제공] 다른 나라들도 아직 치료제 사용 승인이 나지 않았지만, 서둘러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유럽의약품청(EMA)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지난달 19일과 지난 16일 몰누피라비르와 팍스로비드가 코로나19 감염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두 치료제 모두 EMA의 판매 승인이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이탈리아는 두 치료제 모두 5만 코스씩 들여오기로 했으며, 벨기에도 머크와 몰누피라비르 1만정 구매 계약을 맺었다.

최근들어 코로나19 확진자가 매일 10만명씩 나오는 영국은 지난달 세계 최초로 몰누피라비르 사용을 승인했으며 223만 코스를 들여오기로 했다. 영국은 팍스로비드도 275만 코스 주문한 상태다. 코로나19 백신 확보에 뒤처졌던 아시아 국가들도 치료제 도입은 늦어지지 않도록 서둘러 공급 계약을 맺고 있다. 일본은 머크와 몰누피라비르 160만 코스를 12억 달러(약 1조4천250억원)에 들여오기로 했으며 필리핀과 태국, 말레이시아도 각각 30만·20만·15만 코스를 구매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도 머크와 20만 코스, 화이자와 7만 코스를 들여오기로 계약했다.

이 밖에도 캐나다는 몰누피라비르 50만 코스, 팍스로비드 100만 정을 구매하기로 계약했고, 호주도 몰누피라비르 30만 정, 팍스로비드 50만 코스를 들여오기로 했다. ‘팍스로비드’ 알약이 든 상자를 점검하는 화이자 직원들 ‘팍스로비드’ 알약이 든 상자를 점검하는 화이자 직원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처럼 각국이 사용 허가 전부터 계약을 서두르는 것은 초기 생산 물량이 적어 미리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팍스로비드의 경우 지금은 알약 제조에 9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화이자는 사용 증가에 대비해 내년도 생산 물량을 8천만 코스에서 1억2천만 코스로 상향 조정하고, 생산 기간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두 회사 모두 복제약 제조를 허용해 빈곤국이 공급받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면 프랑스는 지난 10월 몰누피라비르 5만 코스를 주문했지만 이날 계약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머크가 몰누피라비르의 코로나19 환자 입원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50%에서 30%로 하향 조정한 탓이다.

Hello world!

0

Welcome to WordPress. This is your first post. Edit or delete it, then start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