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불어닥친 거시경제의 충격은 전세계 주요 기업들의 주가에 반영됐다. 상장사의 시가총액에서 수조 달러가 사라졌고 투자 열기는 수그러들었다. 소비자는 물가상승으로 허리띠를 졸라맸다. 그 결과 글로벌기업의 대다수가 이런 대외변수로 인해 시총과 시장점유율의 급격한 하락을 경험했다. 기업 시총 분석 서비스 컴퍼니스마켓캡닷컴(companiesmarketcap.com)의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글로벌과 한국시총 100대 기업을 분석했다.
글로벌 시총 100대 기업
2023년 1월 현시점에서 세계 최대 시가총액 기업은 2조704억 달러(2476조원) 가치를 보유한 애플이다. 아이폰 제조사인 애플은 지난 1월 3일 거래에서 주가가 3% 넘게 하락하며 한때 2조 달러가 붕괴해 1조9900달러까지 떨어졌으나 1월 16일 기준으로 다시 2조 달러를 회복했다. 애플은 2020년 8월에 처음으로 기업가치 2조 달러를 달성했다. 팬데믹으로 인한 원격근무 및 학교용 컴퓨터, 휴대폰 판매가 급증한 덕택이었다. 2022년 1월 거래에서는 3조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애플은 현시점에서 세계에서 유일한 시총 2조 달러 이상 기업이다. 앞서 마이크로소프트가 2조 달러를 달성했으나 2022년에 다시 1조 달러대로 뒷걸음질쳤다.
지난해 애플의 주가는 27%가량 하락했다. 중국 주요 공장에서 코로나19 봉쇄로 인해 공급에 차질이 생겨 아이폰14 pro 출하에 어려움을 겪은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투자자들도 금리상승과 소비자 신뢰도 하락이 애플의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를 저해한다고 분석했다.
2023년 1월 기준 시총 1조 달러 클럽에는 애플을 포함해 4개 기업만 남았다. 2위 마이크로 소프트(1조8546억 달러), 3위 사우디아람코(1조6931억 달러), 4위 알파벳(구글, 1조1453억 달러)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PC 수요 감소와 미 달러의 강세로 실적 둔화를 겪었다. MS 전체 매출의 약 50%가 해외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MS는 애저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전년 대비 성장 수치를 공개할 뿐 매출을 명시하지 않았다. 구글이 수집한 MS에 대한 내부 추정치가 최근 유출됐는데, 지난 6월 30일 기준 회계연도에 애저의 매출은 290억 달러 미만이었고, 이는 월스트리트 분석가들의 예측보다 적은 규모였다. 구글 내부문서에 따르면 2022년 회계연도에 약 30억 달러 영업손실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50억 달러 이상 손실에서 감소한 규모다. 애저의 마케팅 비용은 100억 달러에 달하며 애저 매출의 34%, 회사 전체 마케팅의 11%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석유 국영기업 사우디아람코는 상위 10위 안에 든, 유일한 비미국 기업이다. 아람코는 치솟는 에너지 가격으로 수익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5월 한때 시총 2조1600억 달러를 기록해 글로벌 최고 시총 기업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 최대 석유 수출국이며 2022년 성장률은 세계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인 7.6%를 기록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지난해 시가총액이 7870억 달러 감소해 아마존 다음으로 가장 큰 하락폭(금액 단위)을 보였다. 알파벳은 지난해 1/20의 주식분할 이후에도 주가가 30% 넘게 하락했다. 2022년 수익 성장이 둔화되고 투자자들이 검색광고 트렌드 약화를 우려하면서다.
한편, 주가분석서비스 시킹알파가 지난해 말 발표한 상위 10개 기술주의 2022년 시가총액 하락폭은 아마존 8560억 달러(시가총액의 거의 절반), 알파벳 7870억 달러, 애플 7550억 달러, MS 7260억 달러, 메타플랫폼 4500억 달러, 엔비디아 3730억 달러, 대만 반도체 1930억 달러, 텐센트 홀딩스 1500억 달러, 알리바바 820억 달러, 브로드컴 450억 달러 순이었다.
글로벌 시총 100대 기업에는 미국 기업이 59개로 절반 이상이었고, 이어 중국 13개, 프랑스 5개, 스위스 3개, 네덜란드 2개, 그리고 한국 기업으로는 삼성(25위)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한편 글로벌 매출(지난 4개 분기 누적) 100대 기업에는 월마트가 6001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위 사우디아람코(5523억달러), 3위 아마존(5022억 달러), 4위 시노펙(4809억 달러), 5위 페트로차이나(4807억 달러), 6위 애플(3943억 달러), 7위 엑슨모빌(3868억 달러), 8위 셸(3653억 달러), 9위 중국국가건설공학(3160억 달러), 10위 CVS헬스(3152억 달러) 순이었다. 한국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2416억 달러로 19위에, 현대가 1051억 달러로 78위, SK그룹이 993억 달러로 86위에 올랐다.